저축銀 가계대출 금리 내리막…高금리대출 취급 큰폭↓
저축銀 가계대출 금리 내리막…高금리대출 취급 큰폭↓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19.03.06 12:2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12월 신규취급 평균 금리 19.3%…전년대비 3.2%p↓
신규 고금리대출 비중 39.8%…1년새 27.8%p 줄어
고금리대출 많은 저축은행, OK-SBI-웰컴-유진-애큐온 順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평균금리 추이 및 고금리 신규 취급액·취급비중.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평균금리 추이 및 고금리 신규 취급액·취급비중. (자료=금융위원회 제공)

 

김형섭 기자 = 정부가 저축은행의 불합리한 고금리 부과 관행에 메스를 들이대자 지난해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의 평균 금리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대출 취급 비중도 큰 폭으로 줄었다. 

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금리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신규취급 평균 금리는 19.3%로 전년동월 22.5% 대비 3.2%포인트 하락했다. 

잔액기준 평균금리도 지난해 12월 21.0%로 전년동월 23.2% 대비 2.2%포인트 줄었다.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지난 2016년 3월 법정최고금리를 기존 34.9%에서 27.9%로 인하한 이후 급격히 하락한 뒤에는 완만한 내림세를 보여왔다. 그러다 지난해 2월 법정최고금리를 24.0%로 또 한 차례 내리며 하락폭이 가팔라졌다.

지난해 대출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 감소효과는 880억원,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2000억~2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금융당국은 추정했다.

신규취급 가계대출 중에서도 연간 적용금리가 20% 이상인 고금리대출의 비중이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12월 신규 고금리대출 비중은 39.8%로 전년동월 67.6% 대비 27.8%포인트 하락했다. 2016년 말 대비 2017년 하락폭이 6.0%포인트였던 점을 감안하면 감소폭이 4.6배 가량 커진 것이다. 

이는 법정최고금리 인하 외에도 정부가 고금리대출의 충당금 50% 추가 적립이나 신규취급 중금리대출의 관리대상 제외 조치 등을 통해 고금리대출은 억제하고 중금리 대출 확대를 유도한 결과로 풀이된다.  

그러나 고금리대출 취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7등급 이하 저신용자에 대한 신규 대출규모나 차주수에는 큰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저신용 차주는 월평균 1만3100명으로 전년 1만3900명 대비 5.5% 줄어드는 데 그쳤으며 저신용자 대출액도 월평균 1132억원으로 1060억원을 기록한 전년과 비슷했다. 

대부계열 저축은행 등 상위사의 고금리대출 잔액도 여전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가계신용 고금리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저축은행은 OK로 1조8174억원으로 집계됐으며 고금리대출 비중은 84.6%에 달했다.

이어 ▲SBI 1조1881억원(54.1%) ▲웰컴 8189억원(72.7%) ▲유진 6042억원(72.8%) ▲애큐온 4162억원(66.5%) ▲JT친애 2753억원(31.9%) ▲페퍼 1901억원(24.6%) ▲한국투자 1833억원(73.1%) ▲예가람 1052억원(62.4%) ▲고려 952억원(57.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금리산정체계에 아직 개선할 점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중금리대출시장 활성화와 금리산정체계 합리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상반기 중 감독규정을 개정해 중금리대출로 인정되는 금리요건을 업권별로 차등화해 중금리대출의 금리인하를 유도할 예정이다. 현행 중금리대출 금리 요건은 업권에 상관없이 16.5%가 적용되지만 은행 6.5%, 저축은행 16% 등으로 차등화하는 것이다. 

예대율 산정시 고금리대출에는 130%의 가중치도 부여해 저축은행의 고금리대출 취급은 억제한다. 금융당국은 지난 1월 발표한 은행권 대출금리 산정 개선방안 중 일부를 저축은행 업권 실정에 맞춰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