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부동산, 온도차…같은 지역서 엇갈리는 희비
지방 부동산, 온도차…같은 지역서 엇갈리는 희비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18.06.25 14:3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평택-고덕, 인천-송도, 제주 영어교육도시 등 대표적
지방 부동산, 온도차

 

 #1. 경기도에서 5번째로 아파트 미분양이 많은 경기 평택. 4월말 기준 미분양 물량은 1080가구에 달한다. '악성 재고'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도 155가구나 된다.

 지난 4월 입주에 들어간 한 아파트는 대부분 분양가 보다 2000만~3000만원 낮은 가격에 나온다. 일부 집주인들은 잔금을 낼 여력이 없어 계약금을 포기하고 집을 넘기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2. 하지만 평택 내에서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인근의 고덕신도시의 분위기는 정 반대다. 지난해 이 신도시 분양된 4개 단지에는 11만7087건의 1순위 청약 통장이 몰렸다. 작년 경기도 전체 1순위 접수건의 31.2%에 달한다.

 분양 단지에 웃돈도 붙었다. '고덕신도시 제일풍경채' 전용면적 84㎡의 실거래가는 지난달 4억1000만원대로 신고됐다. 분양가 대비 3000만원가량 높은 수준이다.
 
 지방 분양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지만, 지역별로 온도차가 나타나고 있다. 새로 조성 중인 신도시나 택지 지구가 있는 곳은 한 도시 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25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평택, 인천, 제주 등이 이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들 지역은 도시 전체로 봤을 때는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집값이 하락세지만 지역 내 신도시, 택지지구에만 청약자가 몰리고 집값이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조성되는 땅에 인프라가 집중돼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 우수한 교육여건 등이 들어서기 때문이다.

 평택 외에도 인천은 송도국제도시가 지역 시장을 떠받치고 있다.

 국토부 자료에는 인천은 4월 말 미분양이 1311가구지만 송도국제도시가 속한 연수구는 미분양 가구가 제로(0)다. 지역 시세도 송도가 이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인천시 송도동은 3.3㎡당 1401만원으로 5월 인천 전체 아파트 매매 평균(910만원) 보다 1.5배 가량 더 비싸다. 작년 아파트 값도 인천은 2.5% 올랐지만 송도동은 3.7% 뛰었다.

 송도국제도시 지역은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기업이 들어선데다 송도 글로벌캠퍼스에는 5개의 국제학교가 자리한다. 연세대 1학년 학생들도 송도캠퍼스에서 생활 중이다.
 
 제주도도 서귀포시 제주영어교육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내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따.

 제주도의 5월 기준 미분양 가구는 1260가구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올해 분양된 8곳은 모두 순위 내 청약 마감에 실패했다.

 반면 국토부에 따르면 제주영어교육도시 '해동 그린앤골드' 전용면적 84㎡가 올 3월 8억5000만원, 4월 8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KB부동산이 밝힌 5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값(7억2727만원)을 뛰어넘는다. 지난달 분양된 '제주 아이파크 스위트'는 분양가가 8억~9억원대의 생활숙박시설이지만 모든 호실이 계약 시작 1주일 만에 팔렸다.

 신규 분양도 나오고 있다.  국제학교 인근에 6월 ‘라임힐’ 전용면적 98㎡ 총 68가구가 분양 예정이다. 시공사는 일호종합건설, 자금관리는 코리아신탁이 맡았다. 모든 가구에 4베이 LDK구조, 전세대 오픈 테라스, 최상층 복층 옥탑룸과 별도의 오픈 테라스 등을 선보인다.

 부동산 전문가는 "대규모 신도시 보다는 교육, 산업 등 지역을 떠받치는 기반산업을 잘 갖춘 곳이 부동산 시장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며 "인구 유입도 활발해 추가적인 가격 상승 기대감이 부는 만큼 실수요 외 투자수요 유입도 활발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