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할까, 매매할까"…분양가상한제 이후 '내 집 마련' 방법은
"청약할까, 매매할까"…분양가상한제 이후 '내 집 마련' 방법은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19.10.23 10:4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
내달 적용지역 나오나…청약시장 과열될 것
"가점 높거나 현금 없으면 '청약 대기' 추천"
"집값 오를 수 있어 가점 낮을시 매수 고려"
"경기 상황 좋지 않아…무리한 대출은 금물"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12일 기준 서울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월(7월16일) 대비 0.14% 상승해 오름폭이 2배로 커졌다. 감정원은 "8월12일 분양가상한제 시행 예고 영향으로 재건축단지는 대체로 보합내지 하락했으나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도 10개월 만에 오름세를 보이며 매매·전세 동반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일대의 한 공인중개소 모습. 2019.09.02.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8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12일 기준 서울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전월(7월16일) 대비 0.14% 상승해 오름폭이 2배로 커졌다. 감정원은 "8월12일 분양가상한제 시행 예고 영향으로 재건축단지는 대체로 보합내지 하락했으나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셋값도 10개월 만에 오름세를 보이며 매매·전세 동반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일대의 한 공인중개소 모습. 2019.09.02.

【서울=뉴시스】김가윤 기자 =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본격 시행을 앞두고 청약을 기다리던 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반값 아파트'가 쏟아질 수 있지만, 청약 시장이 과열돼 당첨 가능성이 희박한 데다 향후 공급도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9.13 대책 이후 잠잠하던 집값도 들썩이고 있어, 가점이 낮다면 서둘러 주택 매수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위한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개정안은 대통령 재가를 거쳐 이달 말 공포·시행된다.

이르면 내달 첫 적용 지역과 대상이 나올 전망인 만큼 이미 달아오른 청약 시장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금융결제원 청약 결과에 따르면, 1순위 기준 올해 3분기 청약경쟁률은 전국 17.6대 1, 수도권 22.3대 1, 지방 14.2대 1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2분기 대비 3분기 청약경쟁률이 약 3배 가량 상승했다.

최저가점까지 오르면서 '청약 문턱'이 1~2분기 대비 훨씬 높아졌다. 3분기 평균 최저가점은 전국 2분기 45.0점에서 3분기 51.1점, 수도권 2분기 44.9점에서 3분기 52.3점, 지방 2분기 45.1점에서 3분기 49.4점으로 늘어났다.

이처럼 청약경쟁이 치열하지만, 서울 주요 지역의 경우 분양가격 대비 최소 3~4억원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가점이 높은 수요자는 청약을 기다리는 것이 현명하다.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무주택 기간이 길어서 청약 가점이 70점 이상 되는 수요자는 시세 차익을 누릴 수 있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물건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양지영 양지영R&C연구소장 역시 "청약 가점이 높은 경우 원하는 지역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해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고분양가 규제로 분양가격이 낮게 나오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청약 시장을 노리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가용할 현금이 없어 많은 대출을 받아야 하는 수요자들도 청약을 기다리는 것을 추천했다. 특히 2021년 말 첫 분양을 시작하는 '3기 신도시' 물량이 쏟아지면 서울과 가까운 곳에 '알짜' 물량이 쏟아질 것이란 분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규제가 심한 지역의 경우 대출이 제한돼있어 상환이 힘들다면 한 번에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매매보다는 대출과 분납 등이 가능한 청약을 기다리는 것을 추천한다"며 "자금 여력을 잘 따져서 '3기 신도시' 같은 택지지구 물량을 기다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했다.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개선안 발표를 하루 앞둔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일대의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정부가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대신해 가격 결정에 개입하는 이번 조치가 미중 관세 갈등, 한일 무역 분쟁 등 꼬리를 무는 대외악재 속에 경제 여건이 뒷걸음질하는 국내 아파트 시장의 대세 하락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지, 공급감소 등 더 큰 부작용을 예비하는 악수가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2019.08.11.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개선안 발표를 하루 앞둔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일대의 아파트 단지가 보이고 있다. 정부가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대신해 가격 결정에 개입하는 이번 조치가 미중 관세 갈등, 한일 무역 분쟁 등 꼬리를 무는 대외악재 속에 경제 여건이 뒷걸음질하는 국내 아파트 시장의 대세 하락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지, 공급감소 등 더 큰 부작용을 예비하는 악수가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2019.08.11.

반면 가점이 낮아 청약 당첨될 확률이 적다면, 지금이 '내 집 마련'의 적기라는 조언도 나왔다. 갈수록 청약경쟁률과 최저가점이 높아지고 있는 데다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다시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고준석 교수는 "청약 가점이 60점대 초반이라면 경쟁이 치열한 곳에선 당첨되기 힘들고, 경쟁이 덜 치열한 곳은 향후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없는 곳이니까 들어갈 이유가 없다"며 "분양가상한제만 기다리다가는 '내 집 마련' 시기를 놓칠 수 있어 자금 계획을 잘 세운 뒤 급매를 노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돼 재건축·재개발 단지들이 분양을 꺼려 공급이 부족해지면 되레 집값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력이 있다면 현재 나오는 매물을 잘 살펴보라는 조언이다.

실제로 은행권은 청약을 기다리던 수요자들이 재고 주택 매수에 나서기 시작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은 "청약 가점이 낮아 당첨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생각하는 수요자들이 아예 매수 쪽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며 "최근 집값이 계속 오르고 있는데 소득이 증가하는 것만으로는 충당이 안 되는 정도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안 부장은 "올해 집을 매수하려고 했는데 가격이 떨어지고 있어서 사지 못했던 수요자들이나 대출 부담이 없는 수요자들에게 재고 주택 매수를 추천한다"며 "주거 여건이 좋은 새 아파트나 개발이 많이 진행된 재개발·재건축 아파트를 노려보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다만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아 매수에 들어가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안명숙 부장은 "상승장 초입이라면 어떻게든 자금을 마련해서 매수하면 좋겠지만, 이미 중반장은 지나갔다고 보이고 상황에 따라 조정 국면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며 "실물 경기도 워낙 좋지 않기 때문에 대출을 많이 받아야 하는 사람들은 (재고 주택을) 매수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양지영 소장 역시 "가점이 낮으면 급매물을 노려볼 순 있겠지만, 급매물이 나오는 상황도 아닌 데다 지금 들어가기엔 (이미 비싸게 형성된) 가격 부담도 클 것"이라며 "정부가 집값을 잡겠다는 의지도 강하고 규제도 여전해, 거품이 빠질 가능성이 있어 조금 더 대기하면서 청약이나 매수 타이밍을 노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