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 협궤열차의 추억, 수원 구 부국원에서 만난다
수인선 협궤열차의 추억, 수원 구 부국원에서 만난다
  • 이종수 기자
  • 승인 2021.04.07 11:3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원 구 부국원, 8일부터 전시회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 개최
옛 수인선 협궤열차, 수원역 승강장, 역전 풍경 사진과 열차 이용했던 사람들의 추억 소개
1937년 개통, 1995년 12월 운행 중단, 2020년 완전 개통
1994년 수인선 열차 2021.04.07.
1994년 수인선 열차 2021.04.07.

수인선의 옛 모습을 촬영한 사진과 수인선 협궤열차를 이용했던 사람들의 구술 영상을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수원시는 수원시정연구원의 수원학 구술총서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 발간을 기념해 48일부터 88일까지 수원 구 부국원에서 전시회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을 연다.

옛 수인선 협궤열차, 수원역 승강장, 역전 풍경, 승객의 모습을 담은 사진 30여 점과 수인선 이용했던 사람들, 기관사 등이 수인선에 얽힌 추억을 이야기하는 영상이 전시된다.

1990년 수인선 협궤열차 2021.04.07.
1990년 수인선 협궤열차 2021.04.07.

1937년 일제가 설치한 수인선은 수원과 인천을 오가는 철도로, 서해안의 천일염, 쌀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한 수탈 열차였다.

수탈을 목적으로 설치한 철도였지만, 해방 이후에는 수원과 인천을 오가는 사람들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수인선은 밭에서 딴 농산물을 팔러 가는 농부, 생선을 팔아 가족을 먹여 살리던 상인들, 학생들 등으로 늘 가득했다. 시민들 삶의 애환이 깃든 열차였다.

수인선은 철로 궤도 간격이 표준궤간(1435)보다 좁은 협궤(狹軌)열차였다. 수인선 협궤열차는 궤도 간격이 762에 불과해 꼬마 열차로 불리기도 했다.

도로망이 발전하면서 승객은 계속해서 줄었고, 수인선은 19951231일 운행을 중단했지만 꼬마열차 추억은 아직도 많은 사람의 머릿속에 남아 있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느림보 협궤열차는 지난해 925년 만에 표준궤 최첨단 복선전철로 돌아왔다.

수인선 복선전철은 1단계 오이도~송도 구간이 20126, 2단계 송도~인천 구간은 20162, 개통했다. 지난해 9월 수원~한대앞 구간 개통으로 수원역에서 인천역에 이르는 전 구간(52.8)이 연결됐다.

수원시는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와 함께 2003년부터 '·현대사 증언자료집'을 발간하는 등 구술·채록(採錄)을 바탕으로 역사 보존에 힘쓰고 있다.

개인의 생애와 기억을 구술로 기록해 잊힌 근현대 역사를 복원하는 작업이다.

지난해에는 수인선을 이용했던 사람들의 구술을 채록하는 작업을 했고,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과 '수원 철도기관사' 두 권을 발간했다.

수원시에서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전시회를 개최한다.
수원시에서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전시회를 개최한다. 2021.04.07.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7명의 구술자가 수인선에 얽힌 경험담을 풀어놓은 책자다. 협궤열차 역무원, 인천 수산물 시장에서 생선을 떼다가 팔았단 지동시장 상인, 수인선을 타고 인천 배다리 시장에 참외를 팔러 가던 농사꾼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시민들이 만든 역사서다.

'수원 철도기관사'는 수인선 철도기관사 3명의 구술을 바탕으로 제작했다. 철도기관사의 삶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책자는 수원시 박물관·도서관 등에서 볼 수 있다.

'수인선: 협궤열차의 기억' 작업 과정에서 수집한 사진과 구술을 재구성한 영상은 수원 구 부국원 전시회에서 일부 공개한다.

이상희 수원시 문화예술과장은 수인선 협궤열차를 추억하고, 사라진 지역 역사를 되새길 수 있는 전시회라며 또 서민들의 평범한 삶의 기억도 역사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시기획 배경을 밝혔다.

관람 시간은 화~일요일 오전 930분부터 오후 6시까지이다(입장 마감 오후 530). 매주 월요일, 법정 공휴일은 휴관한다. 무료 관람이다. 주차 공간이 없어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팔달구 향교로 13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