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러문항' 26개 공개…'EBS 교재 연계' 문항도 포함
'킬러문항' 26개 공개…'EBS 교재 연계' 문항도 포함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23.06.26 15:54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부, 국어 7개·수학 9개·영어 6개·과탐 4개 제시
"교육과정 위반 여부, 전문가마다 의견 다를 수도"

교육부가 최근 3년 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지난 1일 모의평가에서 출제됐던 '킬러문항' 26개를 선별해 공개했다.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을 활용해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를 반복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킬러문항'이라 정의했다. 단, 교육과정 위반 여부, 정답률 등 기준을 명확히 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날 킬러문항으로 제시된 일부 문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시험 당일 'EBS 교재와 연계한 문항'이라 밝힌 것으로 나타나 혼선을 키울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26일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하며 지난 2021학년도 수능부터 올해 6월 모의평가까지 4차례의 시험에서 소위 '킬러문항' 사례를 공개했다.

교육부와 외부 전문가, 현장 교사를 중심으로 지난 15~25일 열흘 간 검증한 결과다. 영역별로는 수학이 9개로 가장 많고, 국어 7개, 영어 6개 순이다.

아울러 검증 절차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각 시험당 1개씩 과학탐구 4개 문항을 선별해 함께 제시했다.

시험별로는 2021학년도 수능에서 2개 문항을 제시했고, 나머지 2022학년도 수능, 2023학년도 수능,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는 각 8개씩을 선정했다.

다만, 교육과정 위반 여부에 대해서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선행학습을 한 학생이 유리할 수 있다'는 식의 분석을 내놓아 이를 명확히 하지 않았다.

이번 6월 모의평가 국어 33번, 2022학년도 수능 국어 13번의 경우 평가원이 출제 당일 배포하는 보도자료에서 EBS 교재를 활용한 문항이라고 밝혔었다.

이에 대해 김연석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이날 오전 사전 설명회에서 "특정 문항이 교육과정을 벗어났는지, 아닌지에 대해 전문가마다 의견차가 있을 수 있다"면서 "공교육 과정에서 다룰 수 있는지 여부에만 초점을 맞춰 문항을 검토했다"고 설명했다.

국어의 경우, 고교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과 전문 용어를 사용해 배경 지식이 있는 학생은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풀 수 있는 문항을 꼽았다. 아울러 선택지 의미, 구조가 복잡해 실수를 유발하게 만드는 문항 역시 킬러문항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모의평가에서는 '로랜즈의 확장 인지 이론'을 주제로 낸 공통과목(독서) 14번을 예시로 들었다. 낯선 현대 철학 분야의 전문 용어를 다수 써서 지문 이해가 매우 어렵고, 선택지로 추상적인 문장을 제시해 지문과 답지의 개념 연결이 어렵다는 판단이다.

'클라이버의 법칙'을 지문으로 제시한 2023학년도 수능 15, 17번도 배경지식과 수학적 이해 능력이 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킬러문항으로 꼽았다.

문제 풀이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내용 파악이 어려운 경우도 킬러 문항으로 꼽았다.

조지훈 작 현대시 '맹세', 오규원 작 '봄'을 지문으로 제시한 이번 6월 모의평가 33번이 한 예다. 문제에서 '선생님의 해석'을 제시했으나 감상 정보가 제한적이고, 선택지에서 제시한 내용을 작품 내에서 찾아 연결해야 해 많은 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수학은 여러 수학적 개념을 결합, 과도하게 복잡한 사고나 고차원적 해결법을 요구한 문제를 선정했다.

예시로 든 6월 모의평가 수학 공통과목(수학Ⅱ) 22번 문제는 다항함수의 도함수, 함수의 극대·극소, 함수의 그래프 3가지 이상의 수학적 개념을 결합했다.

이에 교육부는 "문제해결 과정이 복잡하고 상당히 고차원적인 접근방식을 요구한다"며 "일반적인 공교육 학습만으로 이러한 풀이 방법을 생각해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의 모습. 2023.06.26. 

로그함수의 활용에 대해 묻는 6월 모의평가 공통과목(수학Ⅰ) 21번의 경우, 명제 3개와 3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명제 3개의 답을 더해 정답을 내는 문제다.

이를 두고 "정답률을 낮추기 위해 선지 중 옳은 것을 모두 찾는 객관식 유형의 문제를 단답형 주관식 문항으로 제시했다"며 "불필요하게 명제의 개념을 도입해 수험생의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6월 모의평가 '미적분' 30번도 선정했다. 등비수열 등 여러 수열의 일반항 및 합, 등비급수 등 다수 개념이 결합돼 고차원적 접근법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또 "일반적인 공교육 학습만으로 이런 풀이법을 생각해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수학에서는 대학 수준 과정을 선행학습 한 수험생이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풀 수 있어 유·불리가 생기는 경우도 지적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2학년도 수능 수학 '미적분' 29번으로, 대학에서 배우는 '테일러 정리' 개념을 활용해 문제를 풀어갈 수 있었다고 봤다.

당시 수능이 끝난 뒤 평가원은 해당 문항에 대해 '삼각함수의 극한을 구할 수 있다'는 교육과정 범위 내의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반면 교육부는 교육과정 내에서 풀려면 삼각함수, 사인법칙, 함수의 극한을 결합해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영어는 ▲전문적 내용, 관념·추상적이라 해석하고도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움 ▲공교육에서 다루는 일반적 수준보다 과도하게 길고 복잡한 문장 ▲선지에서 길고 복잡한 구문, 어려운 어휘를 쓴 경우를 골랐다.

이번 모의평가의 경우, 과학자와 예술가의 차이에 대한 지문을 제시한 33번과 합리적 이성의 우월성을 주제로 낸 34번을 제시했다. 모두 빈칸 추론 문제다.

33번의 경우 글의 내용이 다소 추상적이고, 빈칸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관계절 구문 뒤에 있는데다 이를 포함한 문장 구성도 복잡하다며 어렵다고 밝혔다. 34번은 지문이 생소한 서양 철학의 추상적 개념과 내용을 다뤘고, 문장 구조가 공교육 수준을 벗어나 체감 난도가 높다는 것이 교육부의 분석 결과다.

이번 킬러문항 사례로 오른 문항은 모두 역대 수능에서 정답률이 낮은 문항으로 꼽힌다. 하지만 정답률이 30%를 넘은 중고난도 문항도 더러 포함됐다.

EBSi에 수험생들이 입력한 가채점 결과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2024학년도 6월 모의평가의 경우 수학 공통 22번(2.9%), 미적분 30번(5.9%), 공통 21번(10%) 등은 정답률이 매우 낮은 문항으로 꼽힌다.

반면 국어 14번은 36.4%, 33번은 36.8%로 극단적으로 낮은 정답률은 아니었다. 영어 33번(22%), 34번(26.5%), 생명과학Ⅱ 15번(26.7%) 등도 마찬가지다.

심민철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은 "(정답률은) 참고만 했고 기준으로 정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검증 대상이 된 문제는 총 480개로, 각 시험당 국어 45개, 수학 30개, 영어 45개 등 120개다.

킬러문항을 감별해 낸 '점검팀'은 교육부와 외부위원으로 구성됐다. 후보문항 선정분과에서 후보 문제들을 추리고, 현장 교사 중심 검토분과에서 검증했다.

검토는 두 차례 진행됐다. 이는 대입 논술 등 대학별고사의 선행학습 유발 여부를 점검하는 교육부 '교육과정정상화심의위원회'에서 마지막으로 심의됐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치러진 지난 1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고에서 3학년 학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2023.06.26.

[세종=뉴시스]김정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