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27살부터 35년간 흑자인생…43살 소득 정점
한국인 27살부터 35년간 흑자인생…43살 소득 정점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23.11.28 13:0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21년 국민이전계정 결과' 발표
공공소비의 노년층 비중 21%…규모 지속 증가
노동층 174조 세금…유년층 83조·노년층 91조 배분
통계청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 27세부터 35년간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인생'을 살다가 61세부터 다시 적자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소득이 정점을 찍는 나이는 43세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2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1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이 통계는 국민 전체의 연령별 노동 소득과 소비,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 등 경제적 자원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특히 경제적 생애주기는 노동소득이 소비를 충족하는지를 보여준다.

1인당 소비 17세에 최대…소득은 43세에 최대

우리 국민의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태어나 26세까지는 적자 인생을 살다가 27세부터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아지는 흑자 인생으로 전환됐다.

흑자 인생은 60세까지 이어지다 61세부터는 다시 소비가 소득보다 늘면서 적자로 전환했으며, 나이가 들수록 적자 규모는 증가했다.

1인당 소비는 17세에서 357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1인당 노동소득은 43세에서 3906만원으로 최대를 기록했다.

전체 생애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뺀 국민 생애주기 적자 총액은 전년보다 11.6% 증가한 108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소비의 증가폭이 소득보다 커지면서 적자 규모가 증가한 것이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유년층(0~14세)은 151조8000억원, 노년층은 136조7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고, 노동 연령층에서는 179조7000억원 흑자가 나타났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장맛비가 내린 날, 서울 성북구의 한 도로에서
폐지 줍는 노인이 폐지를 리어카에 싣고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2023.06.26.

  공공소비의 노년층 비중 21%…규모 지속 증가

국민의 총소비는 1148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2% 증가했다. 공공에서 377조8000억원, 민간에서 771조1000억원 발생했다.

특히 고령화 추세로 노년층의 공공소비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공소비에서 노년층의 비중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0년 13.7%에서 2021년 기준 20.9%로 늘었다. 1인당 공공교육소비는 유년층에, 공공보건소비는 노년층에 집중됐다.

민간소비 역시 노년층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인당 민간소비는 노동연령층이 주된 소비 주체였다.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5.7% 증가한 1040조원으로 집계됐는데, 임금소득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1인당 임금소득이 높은 연령대는 40대였으며, 자영자 노동소득이 높은 연령은 50대였다.

전년 대비 임금소득은 5.4%, 자영자노동소득은 13.3% 증가했다.

광주 동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에서
마스크를 벗은 어린이들이 뛰놀고 있다.
2022.05.05

노동층 174조 세금…유년층 83조·노년층 91조 재배분

공공이전은 정부의 재정이 어떻게 재분배되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다. 1인당 공공이전은 나이가 들면서 순유입-순유출-순유입이 차례로 발생하는 구조를 갖는다.

태어나 22세까지는 공공이전이 순유입되고, 23세부터 61세까지는 순유출, 62세부터 다시 순유입이 발생했다.

전체 노동연령층은 총 174조1000억원의 세금을 냈고, 이는 유년층(83조2000억원)과 노년층(90조9000억원)으로 재분배됐다.

유년층은 교육, 보건, 기타이전에서 공공 이전이 순유입됐고, 노년층은 교육을 제외한 보건, 연금 등 모든 부문에서 순유입이 발생했다.

상속·증여 등 민간이전도 노동연령층에서 가구내이전(84조7000억원)과 가구간이전(16조6000억원)을 통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순유출됐다.

1인당 민간이전도 0세부터 29세까지는 순유입, 30세부터 64세까지는 순유출됐다. 이후 65세부터는 순유입됐다.

자산소득과 저축의 차이를 나타내는 자산재배분은 유년층에서 6000억원 순유출됐고, 노동연령층(95조7000억원)과 노년층(18조2000억원)에서는 순유입이 발생해 총 113조3000억원의 자산재배분 순유입이 발생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이전(-4조5000억원)과 자산재배분(113조3000억원)으로 충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흑자가 발생하는 연령에서 순유출된 연령재배분액이 적자가 생긴 연령으로 순유입됐다.

노동연령층에서 179조7000억원 순유출돼 유년층과 노년층에 각각 151조8000억원, 136조7000억원 순유입됐다.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