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치 보는 시장"…태영건설發 회사채 시장 불안 여전
"눈치 보는 시장"…태영건설發 회사채 시장 불안 여전
  • 주택건설신문
  • 승인 2023.12.29 18:4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블로그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말 특성에 후행적 리스크 반영 가능성"
내년 초 회사채 만기 도래 집중…4월 최고
태영건설 사옥 전경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이후 부실 전이 우려로 긴장감이 조성됐지만 다행히 시장의 즉각적인 반응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금리가 지속되고 투자심리가 저하된 가운데 내년 상반기 회사채 만기가 대거 도래해 긴장을 늦출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단기자금 시장 바로미터인 기업어음(CP) 금리 91일물은 지난 19일부터 변동 없이 4.2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지난달 내내 좁혀졌던 회사채 신용스프레드가 이달 들어 조금씩 벌어지는 추세다. 격차가 커질수록 시장에서 회사채 투자 위험을 높게 본다는 걸 뜻한다.

국고채와 신용등급 AA- 회사채 3년물 간 차이인 신용스프레드는 오전 11시30분 기준 0.74%포인트로 이달 초(0.72%)보다 0.02%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시각 신용등급 BBB- 회사채 신용 스프레드도 7.188%로 이달 초(7.166%)보다 0.22%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집계됐다.

정혜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휴장일로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시간을 두고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며 "내년 개장까지 업체별 현황을 파악할 시간이 확보되는 만큼 무분별한 공포 심리가 확산되기보다는 개별 기업 옥석가리기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이어 "시장에 선반영된 우려, 태영건설에 대한 제한적인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 정부의 발빠른 지원책을 고려할 때 시장 충격은 제한될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건설업종 추가 부실 가능성과 제2금융권의 손실 우려로 여전채, 하위등급 중심으로 스프레드 갭은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국내 기업들은 내년 상반기 회사채 만기 시기가 집중돼 있어 차환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사업 진행이 지연되고 금리 인상기 단기자금을 끌어 쓰다가 한꺼번에 만기가 도래하는 기업들이 생겨났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내년 국내 회사채 만기 도래 금액은 69조2000억원으로 월별로 살펴보면 4월이 11조원으로 가장 크다. 그 다음 2월(8조원), 1월(7조원) 순이다.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법정관리로 갔던 시공사들은 (도급능력순위) 100~300위권이었기에 리스크가 크게 확산되지 않았으나 태영건설처럼 20위권 내 시공사의 워크아웃 결정은 시장에 상당한 영향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이 받아들여지면 해당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만기 연장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늘어날 수 있다"며 "이를 반영해 PF 시장은 불안해질 수 있지만 연말 특성을 고려한다면 내년 1월부터 후행적으로 리스크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전 이세훈 수석부원장 주재로 태영건설 협력업체 지원에 대한 금융권 간담회를 실시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이 금융시장, 건설산업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또 전날부터 금융시장 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를 운영 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상징후 발생시 관계부처와 함께 신속히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회사명 : 주택건설신문
  • (100-866) 서울 중구 퇴계로187(필동1가 국제빌딩( 2층)
  • 대표전화 : 02-757-2114
  • 팩스 : 02-2269-5114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향화
  • 제호 : 주택건설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04935
  • 등록일 : 2018-01-17
  • 발행일 : 1996-06-20
  • 회장 : 류종기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종수
  • 편집디자인 : 이주현
  • 주택건설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주택건설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hc@newshc.kr
ND소프트